My DataBase

나 자신에게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본문

책/100

나 자신에게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사랑스런 터프걸 2023. 8. 7. 10:53

쓰지 슈이치 1961년 생. 홋카이도대학 의학부 졸업, 게이오기주쿠대학병원 내과에서 연수. 그 후, 게이오스포츠의학에서 스포츠 의학을 배워 스포츠닥터 자격을 받았다. 현재는 응용스포츠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멘탈 트레이닝이 전문이며, 프로 스포츠 선수와 올림픽 대표, 아티스트, 톱 스포츠 팀과 상장기업 등을 멘탈 면으로 서포트하고 있다.


외부에서는 매일 아침부터 밤까지 많은 일이 발생하는데, 여기에 우리는 너무 쉽게 마음을 빼앗기고 휘둘립니다. 인지적인 뇌만을 활용하기에 어쩔 수 없는 현상입니다.
외부환경에 몸과 마음이 휘둘리지 않도록 먼저 나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감정에 집중해봅시다.
나에게 집중하는 것을 자기 관찰이라고 하는데, 이는 요가나 명상, 좌선으로 가능합니다.
내 안에서는 무엇이 발생할까요?
내면에서 일어나는 것 중 먼저 관찰해야 하는 것은 내 마음의 상태입니다. 특히 내가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알아야합니다. 외부에서 다양한 일이 발생하는 것처럼 내 안에서도 다양한 감정이 매일 생겨납니다. 이를 깨닫는 것만으로도 뇌의 균형이 잡히고 마음이 안정됩니다.

누구나 쉽게 가질 수 있는 것, 이것이 비인지적인 관점으로 정의한 꿈입니다. 꿈은 모두의 내면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타인의 평가나 그 꿈을 이루었는지 검증받을 필요도 없으며, 크기를 비교당하는 일도 없습니다.
우열을 가리는 일도 없고, 옳고 그름도 따지지 않는, 나만의 다양한 감정을 토대로 자기존재감을 가지고 사는 인생은 완전히 다릅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로 가득하나 하루
좋아하는 것을 더 좋아하면 좋다.

나는 왜 그 행동을 했을까?
나는 왜 그 목표를 정했을까?
나는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
나는 왜 그것을 했을까?
나는 왜 이기고 싶은가?
나한테 소중한 것은 무엇일까?
나는 어떤 생각을 많이 할까?

사람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감정을 6가지 needs로 나누었습니다.
안도감, 변화, 헌신, 유대감, 성장, 독특함.
사람마다 중요하게 여기는 감정이 2개씩 있고 각자 그 감정을 느끼기 위해 사고하고 행동한다.

자기존재감을 가지려면 내 본연의 모습이 어떤지 알아야합니다.
나라는 사람은 도대체 어떻게 살고싶은 것일까요?
나에게 맞는 삶의 방식이 있습니다.
어떻게 살고싶다보다 하고싶은 것이나 되고싶은 것을 이야기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성공의 피라미드

근면, 협동, 열정, 자제심, 정직, 평정, 성실, 투지, 인내, 신념

나라는 존재 자체에 몰입하면 타인에게 의존할 필요 없습니다. 남의 존경을 받거나 남이 나를 인정하는 일에 집착하지 않으므로 나를 과대포장할 필요도 없습니다. 
지금 나에게 있는 것 자체가 살아가는 에너지의 원천이 됩니다. 이것은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남의 기준으로 자신을 평가하여 긍정하거나 가치를 매길 필요 없습니다.

우리모두는 minority

나만이 가지고 있는 것에 눈을 돌리고 꾸밈없이 솔직하게 자기 존재감의 에너지를 자양분으로 삼고 사는 것이 진정한 행복입니다.
외부환경, 결과, 타인 등에 의존하기 쉬운 인지적인 뇌와는 다른 사고방식을 활용하면 자기존재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가올 VUCA(voatility변동성,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모호성)시대에 자발적으로 강하고 유연하게 살아가는 데 필수능력 중 하나입니다.

있는 그대로의 내 감정을 받아들이며 사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방법을 주도하는 것은 뇌의 비인지적 활동입니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자기긍정감 지상주의에서 벗어나 비인지적인 뇌를 활용한 자기존재감의 시대가 될 것입니다.
자기존재감에는 나를 긍정한다라는 평가가 없으며, 그보다는 존재 자체를 느끼면 됩니다.
자기존재감은 원래부터 ㅌ있는 것이기에 굳이 존재자체를 긍정할 필요 없습니다.

어떤 신이든 내게 불굴의 영혼을 주심을 감사하리라.
나는 내 운명의 주인이며, 내 영혼의 선장이다.
만델라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으로 삼았던 이 말은 우리의 모든 인생은 자유롭다는 가르침을 전합니다.

우리는 태어난 것만으로도 누군가에게 기쁨입니다.
또한 매일 다양한 일을 겪고 느낀 감정은 나만의 독특한 창조물입니다. 내가 창조한 것은 인지적으로 정량화할 수 없습니다. 따뜻한 마음, 감사함, 상냥함 등 정량화할 수 없는 아름다운 것을 매일매일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창조하고 있다는 것, 바로 이것이 살아있음을 의미합니다.

BX brain transformation

오늘 하루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으로 살았나요?

잘했다 고맙다
기대할게 응원할게
칭찬하지 마세요. 응원하세요.
분노나 칭찬으로 사람을 조종하는 것도 상대방을 의존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play hard노력자체를 즐긴다(sports, business, life)
태어나줘서 고마워. 지금 여기에 있어줘서 고마워.

己事究明이란 나를 관찰하여 내가 가진 것과 없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구명하여 개선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이런 점이 스포츠와 비슷합니다. 나를 구명하는 것은 마음을 다잡고 내가 맡은 책임을 다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이 결국 팀과 사회를 위해 사는 일이라는 의미에서 爲人度生이라고 하셨습니다.
원래 스포츠는 인간이 비인지적인 뇌를 기르기 위해 시작한 문화활동입니다.

감정이란 내가 스스로 결정한 체험의 산물이며, 경험은 자기 존재감을 스스로 기르는 데 무엇보다 필요한 요소입니다.

지금을 소중히 여기고 즐거운 마음으로 살면 과거를 지금보다 훨씬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고, 미래도 지금보다 훨씬 밝은 이미지로 상상할 수 있습니다.

나를 소중히 여긴다는 의미에서 나에게 몰입하는 사고방식은 내 마음을 평안하게 만들어 남에게도 친절을 베풀 수 있는 여유로운 마음을 갖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나에게 몰입하고 나를 소중히 여기는 것은 사실 주변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것과 같습니다.

廻光返照
밖에서 빛을 찾지 말고, 내면에 이미 존재하는 빛을 나에게 비추어야 한다.

내가 원하는 대로 살았다고 말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목표 / 목적
내가 이 일을 하는 이유는? 내가 진짜 바라는 일인가? 라는 것을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꿈/ 생각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걸까? 어떻게 하고 싶은 걸까?
노력 / 있는 그대로
잘하는 것 / 좋아하는 것
사건 / 감정
이 감정은 나만의 자유로운 것이며, 감정은 나의 존재 그 자체입니다. 나의 감정을 잘 아는 사람은 자기 긍정감에 휘둘리는 일도 없으며, 나만의 자기 존재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비교하기 / 나 자신
행동하는 것doing / 존재하는 것being
부족한 것 / 원래 있는 것
우리가 살아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며,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훌륭한 가치입니다.
자신감 / 믿음
칭찬하기 / 이해하기
감정과 생각은 그 사람 고유의 것이므로 남이 나를 이해한다는 의미는 나의 존재를 알아준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이때 존재를 알아주는 비결은 무조건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입니다.

자기 존재감을 가지면 나만의 안식처가 현재 내 안에 있다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