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DataBase
AI시대 자녀교육, 사람다움이 답이다 본문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최종단계는 글쓰기입니다. 앞으로는 짧은 시간 안에 자신의 생각을 조리있고 명확하게 글로 표현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127. 읽기는 언어를 배우는 최상의 방법이 아니다. 그것은 유일한 방법이다 - 크라센
131. 보통 초등학생의 경우 한 번에 쉬지않고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학년 x 10분 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156. 반대로 아이에게서 속상하고 부족한 부분을 발견했다면 오히려 잘된 기회로 삼아 지혜로운 교육방법을 찾는 근거로 삼으시면 되겠습니다. 아이의 담임선생님과도 잘 소통하셔서 함께 고민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166. 인간관계에 대한 이론 중 127법칙
가만히 있어도 나를 좋아하는 친구는 무조건 10%
내가 가만히 있어도 나를 좋게 생각 안하는 친구가 20%
내가 뭘하든 나한테 별 관심없는 친구 70%
227. 아이가 하루에 10분 만이라도 책상 앞에 앉아서 오늘 뭐 배웠지? 공책 한 번 펴볼까? 하는 시간을 만들도록 독려해보세요.
공부는 감정만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은 습관으로 하게 됩니다. 공부가 아니라도 혼자 무엇이든 해보게 해주세요. 어릴 때 이런 습관을 잘 들여놓으면 중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차츰 공부에 큰 자신감을 갖게 될 것입니다. 특히 공부는 학생이라면 자신을 아끼고 사랑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가장 편하고 쉬운 방법입니다.
248. 수업시간에 나온 중요한 개념을 하루에 3분씩만이라도 글로 써 본 학생들은 시험에서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월등히 나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250. opnion - reason - example - opinion(제안하기·해결책 제시하기)
258. 백지정리
책에 밑줄을 긋고 문단별로 중요한 내용을 메모하면서 독서하는 방법입니다. 책을 다 읽고나서는 흰 종이에 자신만의 지식지로를 그려볼 수 있습니다. 글을 읽고 핵심을 파악하고나서 스스로 체계화해서 노트에 옮겨적는 것입니다.
중요한 사실은 스스로 자기만의 방식으로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정리하고 요약해놓은 것을 고대로 옮겨적는 것은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스스로 지식의 지도를 그려가면서 정리하고 이해하고 내면화할 때 문해력과 지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