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DataBase
신향선 - color image making 본문
어울리는 색이 중요한 것은 그 색으로 인해 보다 건강하고 아름답게 보이기 때문이다.
어울리는 색의 구분에서 출발점은 색상의 구분이다. 즉, 따뜻한 색인지 차가운 색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분석요인이 된다.
한국인의 색채유형: 여름 67%, 가을 21%, 겨울 11%, 봄 복합 0.3%
dominant 주조색
원색의 빨강색에 노랑이나 주황을 가미하면 따뜻한 계열의 색이지만 흰색이나 검정, 파랑, 마젠타 계열을 가미하게 되면 차가운 빨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색상에 yellow base와 blue base로 나누어 구분된다.
신체색상은 3개의 색소인 melanin, carotene, hemoglobin의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golden undertone: yellow, golden
blue undertone: white & blue, blue & black
향수
봄- 달콤, 청순: single floral, citrus, fruits
여름- 시원, 상쾌: mint, ether, green floral, green, woody
가을- 따뜻, 깊이: fruity cypre, vanila-oriental
겨울- 도회, 관능: white floral, musk, amber, 알하이드
인간의 눈은
명도에 대해 가장 예민하며 그 다음이 색상, 채도의 순서이다. 일반적으로 색상은 150종류까지 식별이 가능하며 명도는 200단계까지 구분되고 채도는 20단계정도 구분이 가능하다.
value(light & dark)
명도단계는 무채색을 모두 11단계로 구분하여 모든 색상들의 명도를 구분하는 기준을 삼는다.
chroma(clear & muted)
순색이 100이고 무채색이 0
중성색(연두, 초록, 보라)은 난색이나 한색 모두 속하는 경우가 있다.
채도가 높을수록 난색의 성질이 뚜렷하고, 명도가 높을수록 한색의 성질을 강하게 나타낸다.
유일하게 따뜻한 색만 존재하는 것은 주황색과 gold이다.
여름과 겨울타입에는 어울리지 않는 대표적인 색이다.
유일하게 차가운 색에만 속하는 색은 magenta, 남색, 무채색, silver이다.
빨강과 흰색의 혼합색으로 된 일반적인 핑크는 차가운 색에 속하는데 주황이 가미된 산호빛의 핑크계열은 따뜻한 색에 속한다. 그리고 베이지 계열이 가미된 핑크 역시 따뜻한 색에 속하게 된다.
따뜻한 색: 바나나색.
원색의 선명한 파랑, 녹색이 가미된 파랑계열 옥색, aqua
차가운 색: 레몬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