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DataBase
행복의 특권 본문
행복:
긍정적인 감정상태,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내면 깊은 곳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기쁨
즐거움, 열정, 의미
eudaimonia(성장, 발전) -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희열
행복과 관련된 가장 보편적인 10가지 감정 - joy, gratitude, serenity, interest, hope, pride, amusement, inspiration, awe, love
1. happiness advantage
수학시험을 앞둔 학생들에게 살아오면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을 떠올리도록 했을 때 성적이 더욱 향상되었다.
고작 사탕 한 봉지로 의사들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자극할 수 있었다는 얘기다. 사실 의사들은 사탕먹을 시간도 없다.
-명상하기(매일 규칙적으로 5분씩 호흡 지켜보기)
-신나는 계획 세우기(휴가계획)
-사무실에 긍정적인 바람 몰고오기(가족사진, 20분 산책)
-규칙적인 운동
-돈 쓰기(경험, 다른 사람과 의미있는 시간을 함께 보내는 일)
-장점 살리기(강점(viasurvey.org)을 일주일간 실천하자 6개월이나 행복ex)새로운 걸 배우기 좋아하므로 피곤한 해외출장의 와중에 그 지역의 미술관을 방문하거나 역사를 공부하니 좋았다는 점)
2. 지렛대 원리
지렛대의 길이 - 잠재력과 가능성
중심의 위치 - 변화를 향한 의지
지렛대 중심(긍정적 태도)를 상대방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새끼손가락으로도 무거운 바위를 들어올릴 수 있다.
어떤 과제를 바라보는 태도는 과제 자체보다 결과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행복과 성공을 거머쥔 소수의 사람들은 근무시간을 고통스럽지만 참아야하는 대상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소중한 자산으로 바라본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를 바탕으로 업무적인 통제력을 유지한다.
행복을 추구한다는 말보다 행복을 창조한다는 표현을 더 즐겨쓴다고 한다.
당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기대가 자녀, 동료, 배우자 등 주변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에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3. 긍정 테트리스 효과
앞서 언급한 테트리스 증후군처럼 부정적 인식패턴으로 가득한 사람들은 어딜가나 실수와 오류를 집어낸다.
반대로 긍정적 인식패턴을 지닌 사람들은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희망적인 메세지를 찾아낸다. 그리고 그 속에서 더 많은 기회를 발견하고 자신의 창조적인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린다.
긍정적인 요소에 꾸준히 집중할 때 우리는 행복, 감사하는 마음, 낙관주의라는 3가지 선물을 얻는다.
하루에 좋은 일을 3가지씩 적는 습관을 들이면 우리의 뇌는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요소들을 모색하는 새로운 모드로 넘어간다. 그리고 사소한 기쁨, 일상적인 성과, 가족들과 주고받는 친밀한 대화, 미래의 꿈과 소망에 더욱 예민하게 반응한다.
사람들은 고생 뒤에 낙이 온다고믿는다. 하지만 채드 버튼과 조라 킹 같은 연구원들은 긍정적인 경험을 기록하는 습관을 통해 행복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건전한 낙관주의란 긍정적인 측면에 집착하는 태도가 아니라 좀 더 넓은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면서 긍정적인 요소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자세를 말한다.
4. 넘어졌다 일어서기(fall up기술)
영업사원들은 대개 열 번 시도에 한 번 성공한다. 이 말은 그들의 근무시간 가운데 90%가 실패와 거절로 채워진다는 얘기다.
그의 실험에 따르면 실패가 거듭될수록 대다수 사람들이 위축되고 무력한 모습을 보이지만, 그 중에서 소수의 사람들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차이의 원인을 샐리그먼은 위기와 고난을 해석하는 방식에서 찾았다.
adversity(위기): 하나의 객관적인 상황
belief(믿음): 왜 이런일이 일어났을까?....., 앞으로 어떻게 될까?....., 단기적이고 지엽적 문제일까 아니면 장기적이고 보편적 문제일까?.......,
consequence(결과): 해결방안
포기 ->disputation(논의) 내면의 목소리를 외면화, decatastrophizing탈비극화(자신의 믿음을 다른 사람의 생각인것처럼 거리를 두면서 다음과 같이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ex)그 믿음의 근거는 무엇인가? 논리적인 허점은 없는가? 그 믿음을 그대로 받아들여도 될까? 아니면 좀 더 의심해 보아야 할까? 다른 해석 방식이 있을까? 또 다른 counterfactual사후가정을 제시할 수 있는가? 지금의 위기상황이 어느 정도로 심각한가?
5. zoro의 원
internal locus of control 내적 통제위
jerk(in stress) vs. thinker
6. 20초 법칙
하루종일 TV를 보거나 facebook을 돌아다니는 수동적 활동은 비교적 자연스럽게 시작되지만, 자전거를 타거나 공놀이를 하고 미술관을 가는 것과 같은 적극적 활동만큼 기쁨과 활력을 주지 못한다.
연구결과들은 수동적 활동이 30분 정도는 즐거움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신적 육체적 에너지를 떨어뜨리고, 이른바 psychic entropy를 높인다고 경고한다.
수동적 활동의 관성에 저항하고 적극적 활동(ex)기타조율)을 실천에 옮기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 이상의 에너지가 투입되어야 한다. 아니면 우리의 몸은 저절로 최소저항의 길을 따라 미끄러지고 만다.
7. 사회적 관계
위대한 기업에서 만난 사람들 모두 자신이 하고있는 일을 끔찍이 사랑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사랑의 원천은 함께 일하는 동료들에 대한 각별한 신뢰였다. - good to gr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