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DataBase
모치즈키 도시타카 - 시간 지도 본문

70. 계획을 세우면 뇌는 이 과제는 일단 이 상태로 둬도 괜찮다고 판단하고, 집중해야 할 대상을 다음 과제로 자연스럽게 전환
74. 마감, deadline같은 단어들은 아무래도 부담스럽습니다. 하지만 사람은 기한이 있기 때문에 비로소 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108. 모든 소망이 실현된 후에도 하고 싶은 일이 있나요? 그것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일 수 있나요?
111. 인간의 몸에는 약 100만개의 감각수용체가 있는데, 그 중 약 1000만개가 보는 것에 사용됩니다.
즉 항상 눈에 들어오는 것을 의식적으로 바꾸면 원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나아갈 수 있습니다.
주변 환경을 좋아하는 것으로 채워라.
좋은 환경은 당신을 좋은 사람으로 이끌 것입니다. 삶에서 가장 우선해야 할 노력이 있다면 그것은 단 하나, 보는 것을 바꾸는 노력 뿐입니다.
134. 이 일이 과연 내가 돈을 쓰면서까지 하고 싶은 일일까?
151. violet light는 근시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도 확인됐습니다.
자외선이 적은 아침시간은 햇빛을 쬐기 가장 좋은 때입니다.164. 결정력이나 업무 수행능력이 사회적 지위나 지능과 무관하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떨어진다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나 머리를 써야하는 결정을 가능한 한 아침 일찍 하는 것이 좋습니다.
175. 만약 즉시 행복해질 수 있다면 우리는 더는 행동할 이유가 없어집니다. 결국 그렇게 계속 멍하니 있으면 급변하는 상황에 대처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뇌는 일부러 행복을 느끼기 어렵게 만들어 항상 문제해결에 집중하는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버려야합니다. 왜냐하면 실제로는 행복한 사람일수록 문제를 더 잘 해결하기 때문입니다.
savoring만끽 list
행복했던 순간들을 기록해두고 잠자리에 들기 전 그 중 하나를 다시 만끽하는 것
201. 행복으로 가는 길이 불분명한 이유 중 하나는 사람들이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 수 있는지 스스로 알고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 하버드 심리 다니엘 길버트
다른 사람의 행복을 위해 행동하면 나는 더 행복해질 수 있다.
211. 점수가 낮은 학생일수록 자신의 성적을 과대평가했습니다.
배움의 초기단계에서 느끼는 뭔가 알것같은 기분이 원인
212. 결과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고, 전력 목표를 재설정하는 과정을 메타인지라고 합니다.
생각에 관한 생각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고 학습하는지 인지하고 조절하는 능력
나는 어떤 준비를 했는가?
그 과정에서 어떤 약점이 있었는가?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학습습관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이러한 질문을 시험 직후에 스스로에게 던지면 동기부여가 되고 이후의 대체방법에 변화가 일어납니다. 직장인이라면 시험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업무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218. 중요한 것은 완벽한 시작이 아니라 꾸준히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
눈부신 미래는 상상만으로 도움이 된다.
미래의 비전이 행동을 결정한다.
최고의 미래를 상상하게 하기
최고학년 때 아주 좋은 성적을 거둔 나를 생생하게 상상하고 언어로 표현하도록 했습니다.
금융학위를 취득하고 인턴십도 잘 진행돼 성취감과 더 큰 향상심을 느끼고 있다 같은 식입니다. 다음으로 가장 멋진 내가 되기 위해 학년마다 단계적으로 떠오른 이상적인 자기 모습을 짧은 문장으로 표현해달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