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DataBase
허균 - 한국 전통 건축장식의 비밀 본문
허균은 사대부들이 누렸던 누정 생활의 풍류를 이해하기 위해 지난 수년 동안 전국에 있는 수많은 누정을 유람했다. 청명한 달밤, 안개 낀 아침이나 눈비 오는 날에도 누정에 올라 옛 풍류객들의 마음자리를 찾아 서성이며, 누정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철학이나 윤리관, 현실적 욕망을 읽어냈다.
홍익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한국미술사를 전공하였고, 우리문화연구원장·문화관광부 문화재전문위원·문화재감정위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책임편수연구원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문양대전 자문위원이자 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전통문화에 담긴 의식과 철학을 고찰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정원-선비가 거닐던 세계』(독일 푸랑크푸르트 북페어, 한국을 대표하는 책 100선, 문화관광부 추천도서, 한국출판진흥재단 청소년 추천도서),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고궁산책』, 『전통문양』, 『뜻으로 풀어본 우리 옛 그림』, 『선인들이 남겨 놓은 삶의 흔적들-한국인의 미의식』, 『사찰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제41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출판상), 『사료와 함께 새로 보는 경복궁』, 『허균의 우리민화 읽기』, 『사찰 100美 100選』(제15회 불교언론문화상 출판부문 최우수상), 『사찰장식의 善과 美』등이 있다.
도성문 천장 신수용, 봉황
16. 남쪽의 광화문, 동쪽의 건춘문, 서쪽의 영추문, 북쪽의 신무문 천장에 각각 동물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이들 그림은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할 당시의 작품이 아니다.
광화문과 영추문 천장 그림은 각각 1968년과 1975년 이후에 그려진 것이다.
19. 사령: 용, 봉, 귀, 린
22. 삼태극의 세 날개는 하늘 땅 사람이라는 우주의 대표적인 3요소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그것은 공간 개념이라 할 수 있고, 그리고 회전하는 모양은 움직임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그것은 시간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우주는 시공의 융합체이므로 삼태극은 곧 우주의 원기가 아직 나누어지지 않은 상태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51. 불교에서는 귀에 들리는 것은 다 부처님의 음성이요, 눈에 보이는 것은 다 부처님의 상호라고 한다.
용두: 용머리 장식기와 일반인
내림마루 기와가 아래로 미끄러져 흩어 내리는 것을 막는 기능
토수: 4귀의 추녀 끝에 끼워 감싸는 용두·귀면형 장식기와
사래 끝이 허공을 향해 치켜 올라가 있어서 비바람에 목재가 부식될 염려
팔뚝에 끼는 토시와 비슷하다하여 이런 이름
홍범9주
하나라 우황이 남겼다는 정치 이념
9개 조항의 큰 법
1. 5행: 수화목금토
2. 5사: 외모 공손 엄숙 -> 말 조리 이치 -> 보는 것 밝음 맑음 -> 듣는 것 분명함 도모 -> 생각하는 것 지혜 성인
3. 8정: 양식 관리, 재정주관, 제사관리, 백성 교육, 범죄 단속, 손님 대접, 양병, 백성의 땅 관리
4. 5기: 해 달 날 별 역법
5. 황극: 임금의 법도로서 임금이 정치의 법을 세우는 것
덕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왕이 혜택을 준다 해도 그들은 왕을 이용해 죄악을 범할 것이다.
6. 3덕: 정직, 강극, 유극
7. 계의: 점을 치게 함
8. 서징: 계절의 변화
9. 5복과 6극: 수, 부, 강녕, 유호덕, 고종명 / 횡사요절, 질병, 근심, 빈곤, 악, 약함
절병통 : 누수 방지
아름다운 못 방초정 : 지붕 물매가 급해 기와가 미끄러져 내릴 가능성
처마 끝의 수키와를 서까래에 고정
구멍을 뚫어 못을 박으면 그 틈 사이로 빗물이 스며들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연꽃 봉우리 모양의 장식물로 그 위를 덮어 두는 것
72. 부처님 설법을 사자후라고 하는 것은, 사자가 한 번 포효하면 작은 사자는 용기를 얻고 다른 일체의 금수는 도망쳐 숨는 것처럼, 부처님이 설법을 하면 보살은 정진하고 도에 벗어난 악귀들은 물러가기 때문이다.
보상화는 연꽃의 변체이다.
꽃잎을 층층이 중첩시켜 장식성을 더한 문양이다
77. 권초문 당나라 때 크게 성행하여 당초문이라는 별명
94. 도는 우주 자연의 이치로, 만물의 변화를 통해 드러나는 것이다. 덕은 이치에 따라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다.
112. 세한3우(겨울철의 세 벗): 소나무, 대나무, 매화
119. 공포란 동양목조건축에서 기동 평방 창방 등의 가구 위에 여러 부재를 짜놓은 것
156. 계단의 수평면을 발판
수직면을 철판
요임금 때 조정의 섬돌에 났다고 하는 명협이라는 서초
명협은 태평성대에만 나온다는 상서로운 풀
175. 현명한 신하가 주변에 있으면 왕의 성철함이 더욱 빛나는 것이다. 천장의 용과 그 주변을 떠도는 오색 구름은 그 상징하는 바가 이와 다르지 않다.
201. 나철은 푸른 눈과 붉은 머리털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사람을 잡아먹거나 지옥의 죄인을 못 살게 군다고 하는 고대 인도의 신이다. 후에 불교에 귀의하여 불전과 부처님을 수호하는 착한 신이 되었다.
225. 능히 상사롭지 못한 것을 제거하기 때문에 벽사라고도 하며, 영원히 100가지 녹을 가지므로 천록이라고도 한다. 천록 역시 용이나 봉황의 경우처럼 여러 동물의 신체 일부분을 본뜨고 조합해서 만들어낸 상상의 동물이다.
227. 연화교, 도피안교, 극락교 등의 다리 이름이 다리의 상징적 의미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다리를 건너 계단을 오르면 부처님의 법회가 열리는 영산회상에 동참하는 길이 열린다.